
텍스트 큐브 트래픽 줄이기 과정 마지막 세번째로 압축전송 플러그인 사용입니다.
서버 이전하기 전까지는 잘 모르던 내용인데,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서 컨텐츠 내용을 압축해서 전송할 수 있다고 합니다.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지원하며 절약 가능한 트래픽은 약 80% 가까이된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.
우선 플러그인 소개부터 해드리겠습니다. 텍스트큐브 홈페이지에서는 http://www.textcube.org/plugin/397 를 참고하시면 되겠고 제작자분인 도아님의 홈페이지 http://offree.net/613 를 참고하셔도 되겠습니다.
너무 옛날에 만들어진 플러그인이라 현재 텍스트큐브에 작동이 잘 될까 싶었으나 별 문제없이 작동되었습니다.
우선 전송에 사용되는 압축 이름이 gzip이라고 하는데 기술적인 자세한 내용은 저도 잘 모르겠네요 ^^;;
플러그인 폴더에 넣고 활성화 시켜주기만 하면 됩니다.
과연 압축전송이 잘되고 있는지, 압축전송을 해서 절약되는 데이터는 어느정도인지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?
여러 사이트가 있는데 몇개의 사이트에 접속해 테스트를 해보시면 됩니다.
http://www.whatsmyip.org/http-compression-test
http://www.gidnetwork.com/tools/gzip-test.php
둘중 아무곳이나 가서 테스트 해보시면 되겠습니다. 제가 직전에 작성한 글인 skstar.net/blog/310 글을 직접 체크해보겠습니다.
이미지에 보시는것과 같이 원래 데이터는 92.14kb(텍스트 위주라서 작은 용량…)인데 압축되어 12.51kb만 소모한것입니다. 84% 가까이 되는 트래픽을 절약한 셈이죠.
그말은 조금 과장한다면 원래 트래픽의 5배 가까이를 사용할 수 있다는것입니다. 만일에 제가 트래픽 분산을 전혀 하지 않는다면 1000명도 못채우고 트래픽 초과가 될것입니다. 하지만 세가지를 다 사용해서 5000명 가까운 방문자를 가당하고 있는것이죠.
이렇게 제가 언급한 세가지 방법만 잘 적용하더라도 텍스트큐브 트래픽은 상당히 감소 시킬 수 있을거라고 생각됩니다. 부디 많은 텍스트큐브 유저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